

JINGAB JEONG
정진갑
작가 정진갑은 인체 형상 작업을 한다. 다섯 살배기 아이의 덩치만 한 작고 깡마른 소녀의 형상을 반복적으로 만든다. 굳이 소녀라고 한 것은 한눈에 초등학교 고학년쯤 됐음직한 몸매를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 엄밀하게 말하자면 작품은 소녀인지 소년인지 구별이 분명하지 않다. 걸치고 있는 옷 역시 중성적이고 표정을 보더라도 아이인지 어른인지 모호하다. 그저 소녀적이다.
어린 여자아이는 가부장적 문화의 질서 혹은 억압으로부터 젠더가 분화되면서 ‘소녀-되기’가 진행된다. 작가의 소녀 형상들은 이 전이가 완성되지 않은 미성숙의 단계에서 멈춰 있다. 달리 말하면 ‘소녀’가 아니라 ‘인간의 어린 시절’이며 힘과 권력이 없는 ‘연약한 어른’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작가의 형상을 ‘소녀적’이라고 표현하고 싶다.
소녀는 인간의 가장 연약하며 순수한 상태를 표상한다. 한 시인이 소녀를 두고 “아직 종소리가 울려 퍼지기 직전 소리를 머금고 있는 종”이라고 묘사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이다. 표현되지는 않았으되 몸 가득 잠재된 표현을 머금고 있는. 아이도 아니고 어른도 아니면서, 남자도 아니고 여자도 아닌 중간적 존재인 소녀는 미세하고 예민하고 애매하다. 그래서 ‘사이-존재’라고 할 수 있다. ‘사이-존재’에서는 사건이 일어나는 표면이기에 무엇이든 가능한 동시에, 재현할 수 없는 비가시적이기에 어떠한 것도 불가능하다.
‘소녀적인 몸’은 전의식preconciusness 단계의 기억들이 들끓고 있는 몸이다. 프로이트는 전의식을 의식과 무의식 중간에 놓으면서 언제라도 현재화될 준비가 된 채 잠복하고 있는 (무)의식이라고 했다. 기억의 대상은 심적 표상이기보다 몸을 통해 드러난다. 우리는 ‘마음의 투시성transparency’을 통해 몸과 마음, 기억을 상호의존적으로 관련 지운다. 몸은 그래서 마음과 정신과 기억의 삼투가 일어나는 구체적인 현장이라 할 수 있다.